안전정보
화재사고 대처요령
불이 나면 누구든지 당황하고 공포감에 싸이게 되며 때로는 흥분하여 평상시보다 판단력이 떨어져 우왕좌왕하다 연기에 질식되거나 높은 데서 뛰어내려 귀중한 인명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 혼자 불을 끄려고 노력하다 불이 확대되어 미처 피난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화재시 행동요령을 평상시 염두에 두고 훈련하여 항상 대비해야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다.
초기의 안전조치
- 불을 발견하면 ‘불이야’하고 큰소리로 외쳐서 다른 사람에게 알린다.
- 화재경보 비상벨을 누른다.
- 소화기, 옥내소화전 등을 이용하여 초기소화 작업에 임한다.
※ 초기소화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지체없이 대피한다.
대피하기
- 엘리베이터는 절대 이용하지 않도록 하며 계단을 이용한다.
-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없는 때에는 옥상으로 대피한다.
- 불길 속을 통과할 때에는 물에 적신 담요나 수건 등으로 몸과 얼굴을 감싼다.
- 방문을 열기 전에 문을 손등으로 대어보거나, 손잡이를 만져본다.
- 손잡이를 만져 보았을 때 뜨겁지 않으면 문을 조심스럽게 열고 밖으로 나간다,
- 손잡이가 뜨거우면 문을 열지 말고 다른 길을 찾는다.
- 대피한 경우에는 바람이 불어오는 쪽에서 구조를 기다린다.
-
밖으로 나온 뒤에는 절대 안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 다른 출구가 없으면 구조대원이 구해줄 때까지 기다린다.
- 연기가 방안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문틈을 옷이나 이불로 막는다.
-
연기가 많을 때 주의사항
- 연기 층 아래에는 맑은 공기층이 있으니 서서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 연기가 많은 곳에서는 팔과 무릎으로 기어서 이동하되 배를 바닥에 대고 가지 않는다.
- 한 손으로는 코와 입을 젖은 수건 등으로 막아 연기가 폐에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 옷에 불이 붙었을 때에는 두 손으로 눈과 입을 가리고 바닥에서 뒹굴어 준다.
화재 때 신고 방법
-
침착하게 전화 119번을 누르고 불이 난 것을 말한다.
[신고순서]
- ① 신고자 이름 : ○○○입니다.
- ② 화재가 난 곳의 주소 : 모를 경우 주변의 큰 건물을 말한다.
- ③ 신고자 전화번호 : 받을 수 있는 전화번호를 말한다.
- ④ 화재 원인 : 전기, 기름, 가스 등
-
화재의 내용을 침착하게 화재발생장소, 주요건축물, 화재의 종류 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리 집 주방에 불이 났어요. 2층 집이에요).
-
주소를 정확하게 알려 준다.
(○○구 ○○동 ○○○번지예요 / ○○초등학교 뒤쪽이에요).
- 소방서에서 알았다고 할 때까지 전화를 끊지 않는다.
- 공중전화는 빨간색 긴급통화 버튼을 누르면 돈을 넣지 않아도 긴급신고(119,112등) 통화를 할 수 있다.
- 휴대전화는 사용 제한된 전화나 개통이 안 된 전화도 긴급신고가 가능하다.
※ 119는 화재신고는 물론 인명구조, 응급환자 이송 등을 요청하는 번호입니다. 장난전화를 하지 맙시다.
화재사고 대처요령 유튜브 보러가기
알리기
판단하기
대피하기
신고하기